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경향마당]사립박물관의 위기 외면하는 정부

인병선

200여 사립박물관들이 기력을 잃고 있다. 근래에 폐관을 고민하는 박물관이 늘어가고 있다. 국립박물관 무료화정책에 따라 운영난이 심각해진 사립박물관에 대한 정부의 지원정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자존심과 자부심의 훼손은 사립박물관 관장들을 좌절시킨다. 평생을 바치고, 전 재산을 바쳐 국민의 문화향수를 위해 노력하는 엄연한 공적 기관을, 정부나 사회는 ‘사(私)’자가 붙었다는 이유만으로 사립박물관을 한낱 잡화상쯤으로 여기는 듯하다.

유실되거나 외국으로 반출되었을 귀중한 문화유산들을 지킬 수 있었던 것은 따지고 보면 ‘사립’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 아니었을까? 일일이 정부의 허가를 받고 일일이 정부의 지시를 받았더라면 가능했을까? 아마도 ‘사’의 신념과 열정이 없었다면 어려웠을 것이다.


사각턱 300만원!!
정말 이가격에??
영어요? 진~짜
쉬운방법 있어요~
오늘만 이가격
49,800 → 29,800사립은 정부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공적으로 전환될 수도 있고 사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을 수도 있다. “사유재산이라고 안방에 쌓아놓지 않고 국민의 문화향수를 위해 공개하는 걸 높이 평가한다. 뭘 도와주면 당신들이 갖고 있는 유물과 지식들을 더 많이 내놓겠는가?” 정부가 이런 태도만 보인다면 사립박물관 재산은 결국 국가 재산이 될 것이다. 정부나 자치단체가 박물관 한 개를 세우려면 수백억원의 건립비와 매년 수십억원의 운영비를 각오해야 된다. 그러고도 유물이 없어 텅 비어 있는 지자체 설립 공립박물관들이 부지기수다. 그런데도 내실 있는 사립박물관을 왜 공공화하지 못하는지 답답할 따름이다.

200여 사립박물관은 모두 각기 다른 주제로 설립되었다. 국립을 종합박물관이라고 하고 사립을 특수전문박물관이라고 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대부분 세계에 유례가 없는 양의 유물과 그에 대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다. 사립박물관들은 그야말로 창의체험교육 콘텐츠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이 보고를 어떻게 교육자원화 하는가는 정부의 손에 달렸다. 사립박물관이 보유한 유물에서 교육콘텐츠를 찾아내고 프로그램화하고 실제 교육을 시행하는 일은 전문교육사가 할 일이다. 지금까지 사립박물관에는 민속학, 역사학 등을 전공한 학예사가 배치되었지만 앞으로는 전문 교육사의 배치가 필요하다.

관장들이 모여 폐관 운운할 때마다 참담한 심정을 금할 수 없다. 박물관이 문을 닫으면 유물들은 어찌될 것인가. 결국 흩어지거나 외국으로 반출될 것이다. 돈으로 셈할 수 없는 문화기관들이 위기에 처해 있다. 이 기막힌 현실을 정부만 모르고 있다.

- 경향신문 2011.8.16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8151851195&code=990402<- 경향신문 2011.8.16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8151851195&code=990402<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