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박희숙 / 맨손이 만들어낸 마음속의 풍경과 색채

김종근


그림이 점이나 선, 면, 색 등 조형적 요소와 원리로만 꼭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그림은 형식적인 것들을 넘어 작가의 내면적인 정신과 만나 비로소 하나의 그림으로 태어나기 때문이다. 칸딘스키가 추상회화에서 이끌어낸 예술에 있어 정신적인 세계의 중요성은 이점에서 유효하다. 이러한 필연성은 풍경을 그리는 작가에게도 예외가 아니다.

박희숙의 경우가 여기에 해당된다. 물론 그의 그림이 풍경인가라는 점도 논의의 여지가 있다. 그의 작품은 자칫 대상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풍경화가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풍경화는 아니다. 그가 대상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지도 않을 뿐더러, 그의 시각이 풍경의 형식들을 향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관념적인 세계를 형상화하는 추상화가라고 부를 수만도 없다.그는 대상을 바라보고 이해한다. 그리고 그 기억의 잔상들을 화폭에 옮겨 놓는다.
이렇게 자연을 보는 그의 시형식에는 그 방법을 관통하는 그만의 흐름가 기법이 존재한다. 그것이 바로 마음속의 풍경을 담아내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풍경에는 보통 눈에 보이는 시각적인 차원의 풍경이 있고 , 눈에 보이지 않지만 마음속에 가지고 있는 내면의 풍경이 있다. 화가가 가지고 있는 그 마음속의 풍경 , 박희숙은 후자인 그 풍경을 가슴에 두고 있다. 그러한 증거로 우리는 그가 풍경의 구체적인 묘사를 피하고 있다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화가가 어떠한 대상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거나 드러내지 않고 있다는 것은 그 대상의 인상이나 사실성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것은 화가들의 일반적인 방식이다.

그러한 특징을 우리는 박희숙의 작품 전체에서 발견한다. 한 작품을 보자, 그의 풍경 가운데는 비 오는 날, 눈 내리는 날의 모습을 연상시키는 작품들이 있다. 또한 작열하는 듯한 핑크빛의 열정적인 꽃의 모습이 있는가 하면 , 설산의 눈처럼 깎아지른 빙벽의 풍경도 있다.
그것들은 고요한 자연의 인상을 닮아 있기도 하고 , 휘몰아치는 겨울의 한 순간을 떠올린다. 그렇다고 그 작품들이 마치 절대음악처럼 전적으로 내용을 무시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여름나무 ' 혹은 ' 봄' 또는' 연인들의 바다' 에서는 우연히도 사계절의 감각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감각은 실제 몇 가지의 특징을 통해 확인 시켜준다. 기본적으로 자연의 대상을 그대로 그리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를 끌어당겨 확산 시키거나 화폭 전면에 퍼트린다. 그는 사계절을 염두에 두면서도 특정한 테마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

예를들면 물 ,눈, 빛 그리고 꽃등에 관한 자연적인 주제가 대부분이다. 그는 보여지는 대상의 시선을 색채라는 것으로 보고 싶어한다. 핑크빛 꽃들이 화폭 전면에 봄의 멜로디처럼 퍼져있는 작품 , 겨울을 떠올리는 보랏빛 설산. 여름 하늘처럼 푸른 하늘을 연상시키는 하늘빛 블루. 온통 봄날의 오후를 눈부시게 하는 노란개나리 .

이 그림들은 그의 시선이 주제와 테마가 잘 어우러져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물론 이 가슴을 떨리게 하는 그림들은 마치 그가 자연을 바라보는 데 각기 다른 색채의 필터를 눈에다 달고 있는 것처럼 환상적이다.
그러면서도 색점들이 가지는 특성과 형태의 통일감을 보여 주기도 하고 아울러 거의 전면회화를 떠올릴 만큼 전우 좌우로 향하여 자유분방한 형식을 나타낸다.

하늘색의 작품들은 무한한 창공의 공간감과 해방감을 주며, 핑크빛 색채는 거대한 꽃들의 집합의 힘을 보여준다. 이 모든 박희숙의 생각들은 마치 세잔느가 '자연에 대해 너무 지나치게 세심하거나 , 지나치게 성실하거나 순종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라는 주장과 맥락을 같이 한다. 그래서인지 그의 그림에는 억제 된 색채와 뜨겁고 분명한 감정이 공존하고 있다.
고유한 감정에 빠져 있다고 보기보다는 풍경을 색채로 인지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다른 작가들과도 구별되는 색다른 매력이 그에게는 있다.
그의 색채들이 아름다운 것은 물감이 아니라 그가 만들어낸 풍경이 아름다운 것이다.

비록 풍경에는 이율배반적인 색채가 있다 하더라도 그 자신이 추구하는 색채표현에는 완전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제 그의 화풍은 추상화와 표현주의의 결합처럼 거칠면서도 균일한 화풍의 구조로 정착되어간다.
그것은 풍경이라는 개념을 해체 된 양식으로 보고, 표현도 자연의 재현에서 벗어나 손으로 이미지화 하는 그만의 형식이기에 가능한것으로 판단된다.
보기 드물게 그의 작품들은 손이라는 가장 원초적인 도구의 행위를 통하여 작가 욕망의 내면 세계를 여지없이 드러낸다.
이 방법은 붓이라는 매체가 주는 간접적인 접촉을 거부하는 것을 의미 한다.
동시에 이것은 우연성의 효과를 새로운 미의식으로 발전시킨 액션 페인팅 화가들처럼 몸의 언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여기서 우리는 그가 조각가 출신이라는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사실 그는 평면위에 색채조각을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제 그는 자신만의 개성적인 표현인 손으로 만들어낸 세계에 도달해 있다. 그 도달이란 동시에 물론 새로운 시작을 가리키기도 한다. 그는 이 제한적인 색채만으로 충분히 자유롭고 율동적인 선으로 강렬한 형태를 보여줌으로서 자신의 언어를 뿌리 내리고 있다. 거기에는 순간적 효과보다 그의 즉흥적이고 속도감 있는 필치와 자신감으로 모노톤 회화의 특성까지도 포함하여 단순한 색채의 효과를 최고조로 증폭 시키고 있다.

이제 그의 작업을 바라보는 입장에서 좀 더 근원적인 표현의 밀도와 응집력이 있으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조심스럽게 가져본다. 그러기 위해 작가는 그만이 추구하는 이념을 단순하고 강렬하게 드러내는 절제의 미학이 요구될 수도 있다. 그럴때야 말로 진부한 추상미술의 전개가 아니라 실로 역동적인 필치와 대담하고 거친 마띠에르로 박희숙만의 지평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미술대학을 졸업한지 오랜 시간이 흘렀다고 했다. 그동안 현장에서 미술교사로 있었지만 40대 중반 . 분명 예술가로 치면 늦은것은 아니지만 , 나이로 치면 첫 번째 전람회가 늦었다.

그러나 그가 스스로에게 한 약속은 지킨 셈이 된다. 그는 아주 오래 전 자신이 마음에 드는 작품이 100점이 넘으면 개인전을 갖겠다는 약속을 했다. 그의 작업실에 널려진 100여점에 달하는 작품을 보고 이제 박희숙은 그가 원하는 대로 볼 수 있고 그가 느끼는 대로 색을 칠 할 수 있는 경지에 올랐다고 말할수 있다. 이미 그것만으로 그의 출발은 눈부시다. 분명 첫개인전은 그가 누리는 최고의 자유와 행복을 얻은 상징적 행위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