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경우 : I MIND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송은미술대상 대상 수상작가 개인전


한경우 : I MIND

2014. 2. 28 – 4. 12




전시 개요                                                                                         

 

전시  제목 : 한경우 : I MIND 

전시  기간 : 2014년 2월 28일(금) – 4월 12일(토)

기자간담회 : 2014년 2월 28일(금) 오전 11:30, 송은 아트스페이스 (일정 추후 공지)

오  프  닝 : 2014년 2월 28일(금) 오후 6 – 8시, 송은 아트스페이스

작가강연회 : 2014년 3월 26일(수) 오후 3 – 5시, 세미나실 (송은 아트스페이스 2층)


관람  안내 : 월요일-토요일, 11:00-19:00 (일요일 휴관) / 무료 관람

전시  장소 : 송은 아트스페이스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로 75길 6)

출  품  작 : 사진, 설치 등 신작 15여점 

주      최 : 재단법인 송은문화재단






전시 기획 의도                                                                                         


송은미술대상은 故유성연 명예회장(1917-1999)이 생전에 깊은 애정을 가지고 추진했던 한국미술문화 발전의 뜻을 기리기 위해 (재)송은문화재단의 現 이사장인 유상덕 ㈜삼탄 회장이 2001년에 제정한 상으로 지난 10여 년간 한국의 재능 있는 젊은 미술작가들을 육성하기 위해 매년 공정한 심사를 통해 우수한 수상자를 배출해 왔습니다. 2011년 11회를 기점으로 작가의 꾸준한 작업활동과 발전을 돕기 위해 공모요강과 작가 지원 내용을 개편, 강화하여 대상 수상작가에게 상금 2천 만원 이외에 송은 아트스페이스에서의 개인전 기회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송은 아트스페이스는 공모요강 개편 이후 첫 대상 수상작가인 한경우 작가의 개인전 “I MIND”를 2014년 2월 28일부터 4월 12일까지 개최합니다. 


한경우 작가는 제11회 송은미술대상전에서 <Star Pattern Shirt>(2011), <Green House>(2011) 등의 작품을 통해 인간의 눈이 가지는 시점의 한계를 극명하게 드러냄으로써 사물의 절대적인 본질에 대해 질문하는 작업으로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번 개인전 “I MIND”에서 작가는 이러한 탐구의 영역을 더욱 심화하여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주체와 인지되는 대상 간에 발생하는 인식의 왜곡과 한계들을 제시하는 사진 및 설치 작품들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한경우 : I MIND                                                                                 


송은미술대상은 지난 11회(2011년)부터 개편되어 예선과 본선 심사로 총 네 명의 수상작가를 선정한 후 전시 형식의 최종심사를 통해 대상 1인과 우수상 3인을 확정 짓는다. 대상 수상작가에게는 상금과 함께 수상 년도로부터 2년 이내에 송은 아트스페이스 개인전 개최가 지원된다. 올해 송은 아트스페이스는 그 첫 번째 수상 작가 개인전으로 “한경우 : I MIND”를 선보인다. 


송은미술대상 제11회 대상 수상작가 한경우는 1979년생으로 서울대학교 조소과 졸업 후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에서 영상 뉴미디어 석사과정을 마치고 스코히건 회화 • 조각학교를 졸업하였다. 국내 첫 전시로 2인전 “Blind Spot”(살롱 드 에이치, 2011) 이후 개인전 “Red Cabinet”(대안공간 루프, 2011), “Standard Disorder”(살롱 드 에이치, 2012)와 그룹전 “아트 스펙트럼 2012”(리움, 2012), “SeMA 청년 2012 : 열두 개의 방을 위한 열두 개의 이벤트”(서울시립미술관, 2012) 등의 전시에 참여했으며 난지 미술창작스튜지오(2011, 6기), 고양 창작 스튜디오(2013, 9기) 입주 작가로 활동한 바 있다. 


한경우는 대상을 바라보는 ‘시각’과 대상을 인지하는 우리의 ‘관점’ 사이에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 간극이 존재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사물을 지각하는 데 있어 인간의 시각은 다른 감각기관에 비해 우위를 차지한다. 그러나 우리는 익숙한 이미지를 볼 때, 사실 그대로를 지각하기 보다 자신이 아는 바에 의거해 이미지의 실체를 인지하려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작가는 이와 같이 지각이 주관적으로 이루어지는 지점에 착안하여 다양한 작업을 선보여왔는데, 대표작 <Star Pattern Shirt>(2011)은 전시장 스크린에 투사된 ‘성조기’ 이미지가 실제로는 별무늬 셔츠, 캐비닛 등 여러 사물들이 모여 이루어진 모습을 실시간으로 투사한 것임을 보여줌으로써 관념에 지배되는 시각의 한계를 제시한 것이었다. 우리가 보는 실체는 고정관념에 의해 왜곡되며 결국 상대적으로 수용될 수 밖에 없음을 고찰해 온 한경우는 이번 개인전에서 관념에 의한 지각이 적극적으로 다루어지는 영역을 소재로 신작을 선보인다. 


전시장 입구에 들어서면 메자닌 공간에 설치된 회색 모노톤의 거대한 조형물을 마주하게 된다. 여러 개의 단면으로 보이는 본 작품을 관람객이 위층에서 내려다보면 “I MIND” 알파벳 모양의 조형물임을 지각하게 되며 입구에서 본 이미지는 거대한 문자 조형물의 측면에 불과한 것임을 깨닫게 된다. 시점에 따라 대상이 전혀 다르게 인지되는 점을 고찰해온 작가에게 “I MIND”는 문장의 뜻 그대로 하나의 대상을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사고하게 되는 가능성이자 본 전시 전체를 아우르는 주제어이다. 한경우는 작품 <Reclaiming a Hat>(2013)을 통해 우리의 관습적인 지각에 경각심을 일깨운 『어린 왕자』의 ‘보아뱀 그림’으로 인해 대다수 사람들이 ‘중절모 그림’을 더 이상 ‘중절모’로 보지 못하고 오히려 ‘코끼리를 삼킨 보아뱀’으로 지각하게 되어 또 다른 관념이 생성되었음을 지적한다. 이밖에 좌우대칭 잉크 얼룩을 보고 각자 느끼는 바에 따라 성격 검사가 이루어지는 ‘로샤 검사’와 토끼, 비둘기, 개 등의 동물 형상을 만드는 ‘손 그림자’ 놀이 등을 통해 작가는 인간의 관념과 욕망으로 형성된 이미지들과 이를 지각하는 과정을 모색함으로써 이들이 갖는 실체와의 괴리를 조명한다.       



한경우 작가 약력                                                                                     


 


1979 서울 출생 

2010 Skowhegan School of Painting and Sculpture, 스코히건, 메인, 미국

2007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Film Video & New Media 석사 졸업, 시카고,

일리노이, 미국  

2005 서울 대학교, 조소과 학사 졸업, 서울



주요 개인전

2014 I MIND, 송은 아트스페이스, 서울

2012 Standard Disorder, 살롱 드 에이치, 서울

2011 Red Cabinet, 대안공간 루프, 서울

2006 Displacement, LG 스페이스, 시카고, 일리노이, 미국  



주요 단체전

2013 New Scenes,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개관전, 서울

모방의 미학,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서울 

사진의 눈,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Once Upon a Time, Vittorio Corsini, 한경우 2인전, 가젤리 아트 하우스, 런던, 영국

기술적 상상력의 미래, 대구 예술 발전소, 대구 

We Are Just Bits,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 

2012 The Unseen, 광저우 트리에니얼, 광동 미술관, 광저우, 중국

아트 스펙트럼 2012, 리움 삼성 미술관, 서울

SeMA 청년 2012 : 열두 개의 방을 위한 열두 개의 이벤트, 서울 시립 미술관, 서울

Plastic Days,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Keeping It Real, 큐아트 뮤지엄, 볼더, 콜로라도, 미국

2011 제11회 송은미술대상전, 송은 아트스페이스, 서울 

청년 미술 프로젝트 Future Lab, 대구 Exco, 대구 

Asia Unspecific, Five Myles, 브루클린, 뉴욕, 미국  

거북이 몰래 토끼야 놀자, 경기도 미술관, 안산

Still or Sparkling, 가젤리 아트 하우스, 런던, 영국

Blind Spot, 한경우, 이문호 2인전, 살롱 드 에이치, 서울

2010 감각의 확장, 대안공간 루프, 서울

MISC Video & Performance, 뉴욕 스튜디오 갤러리, 뉴욕, 미국

Jack in the Space, 딘 프로젝트, 롱 아일랜드 시티, 뉴욕, 미국

2008 Movement, 스미스 컬리지 뮤지엄, 노스햄튼, 매사추세츠, 미국

The Bridge, 가나 25주년 기념전, 인사 아트센터, 서울

How Soon is Now, 브롱스 뮤지엄, 브롱스, 뉴욕, 미국

2007 세계 속의 한국 현대 미술, 뉴욕전, 예술의 전당, 서울 

Fresh Illusions, 화이트 박스, 뉴욕, 미국

Breathe in Between, 한경우, 이은선 이인전, 데드텍, 시카고, 일리노이, 미국

Conversations at the Edge, 진시스켈 필름 센터, 시카고, 일리노이, 미국  



프로젝트

2014 Scene by Scene, 우영미 콜라보레이션, 맨메이드 우영미, 서울 

2010 Chashama Windows Program, 도넬 도서관 윈도우, 뉴욕, 미국



수상 및 레지던시

2013 고양 창작스튜디오 9기 입주작가, 고양 

2012 난지 미술창작스튜디오 6기 입주작가, 서울

벽산 문화재단 기금 수여, 벽산 문화재단, 서울

2011 제11회 송은미술대상, 대상, 송은 문화재단, 서울 

2010 Pollock-Krasner Foundation Grant 수여, 폴록 크라스너 재단, 뉴욕, 미국 

NYFA Fellowship 수여, 뉴욕 미술 재단, 브루클린, 뉴욕, 미국 

2009 Yaddo 레지던시 작가, 코퍼레이션 오브 야도, 사라토가 스프링즈, 뉴욕, 미국 

Smack Mellon Hot Picks 선정, 스맥맬론, 브루클린, 뉴욕, 미국

2008 AIM 28, Artist in the Market Place 선정 작가, 브롱스 뮤지엄, 브롱스, 뉴욕, 미국  

2007 Swing Space 레지던시 작가, 로워 맨하튼 컬쳐 카운실, 뉴욕, 미국  

AHL Foundation Visual Arts Award 2위 수상, 알재단, 뉴욕, 미국

2006 ACC Grant 수여, 아시안 컬쳐 카운실, 뉴욕, 미국 



작품 소장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분당 서울대학교 병원, 경기도 

스미스 컬리지 뮤지엄, 노스햄튼, 매사추세츠, 미국

미술은행,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송은문화재단, 송은 아트스페이스,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송은 아트스페이스 소개                                                                           


송은 아트스페이스는 재단법인 송은문화재단이 2010년에 개관한 복합문화공간으로, 1989년 재단 설립 이래 미술인들을 지원하고 송은미술대상을 통해 작가 발굴과 육성에 주력해 온 취지를 보다 발전시키고자 건립되었다. 


(재)송은문화재단은 송은 아트스페이스 개관 이래 2011년도 주요 전시로, “카를로스 아모랄레스”, “안두진 개인전”, “프랑소아 피노 컬렉션”, 그리고 2012년도에는 “Reflections from Nature : 스위스 젊은 작가전”, “레안드로 에를리치”, “천성명 개인전”, “송은문화재단 소장품전”, “제12회 송은미술대상전”을, 2013년도에는 “The French Haunted House : 프랑스 젊은 작가전”, “이세경: Recollection”, “채프만 형제 : The Sleep of Reason”, “제13회 송은미술대상전” 등을 개최하였다. ㈜삼탄 사옥 내 전시공간 송은 아트큐브(대치동 소재)를 통해 신진작가들 대상으로 전시공간과 도록 제작을 비롯한 개인전 개최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찾아오시는 길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로 75길 6 송은 아트스페이스

Tel. 02-3448-0100  

Fax. 02-3448-0105

www.songeunartspace.org


(재)송은문화재단 

송은 아트스페이스   135-955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로 75길 6      www.songeunartspace.org

유형정 팀장         E yhj@songeunartspace.org   T 02-3448-0100   F 02-3448-0105   


㈜로렌스 제프리스 Laurence Geoffrey’s, Ltd.

110-260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64-4      www.artconsulting.com

노미리 대리         E mirinoh95@gmail.com   T 02-745-1149   F 02-745-1148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