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길후전 : 기념비적 인상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 전시개요
 ○ 전 시 명 : 기념비적 인상, 김길후展
 ○ 전시기간 : 2016. 1. 14.(목) ~ 4. 3.(일)
 ○ 개막행사 : 2016. 1. 14.(목) 오후 4시 
 ○ 전시장소 : 미술관 1,3,4전시실/1층
 ○ 전시작품 : 회화 50여 점


새해맞이 기념비적 인상, 김길후展 전시개막


포항시립미술관(관장 김갑수)은 새해를 맞이하여, 한국과 중국 베이징을 오가며 왕성하게 활동을 펼치고 있는 김길후 작가의 기획전시를 마련하였다. 이번 ‘기념비적 인상, 김길후’展은 동양적 사유세계의 대표적 색채인 검은색의 주조로 직감적이고 울림이 있는 작업으로 주목을 받는 김길후 작가의 예술세계를 조명하는 전시회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새로운 매체와 설치미술이 주류가 이루어지는 국제적 미술의 경향에서, 오랜 역사를 안고 있는 동아시아의 회화예술이 앞으로 어떻게 펼쳐 나아가야 하는지 그 담론을 형성해 보고자 한다. 
그동안 김길후 작가는 국내에서 많이 알려지지 않은 작가로 묵묵히 작업에만 전념해 오다가 2010년부터 작업실을 중국 베이징에 옮겨 국제적인 감성을 키우고 있다. 김길후 작가는 문명의 발전이 낳은 각박한 경쟁사회 속에서 예술적 고민의 돌파구를 일상 속 평범한 민중의 모습에서 찾았다. 그는 유구한 역사 속에 자주 거론되고 있는 ‘현자(賢者)’, 즉 중국 ‘성인(聖人)’의 이미지를 평범한 민중들에서 발견하고 이들의 진실함에서 오늘날 진정한 현자(賢者)임을 깨닫게 되었다. 이번 전시는 이름 없는 인물들의 기념비적인 삶에서 진실과 내면의 아름다움을 보여 주는 작품들로 구성하였다. 또한, 거침없고 직감적인 붓질로 표현주의적(表現主義的)인 회화의 맛을 진하게 느낄 수 있는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김길후의 그림을 특징짓는 것은 내용적인 특질보다는 형식적인 측면이다. 단순하면서도 직감적으로 형상을 만들어 내는 그의 작품은 자유와 무의식을 표현하는 ‘추상표현주의’로부터 영감을 받는다. 작품은 대상의 테두리 선과 어두운 면 위의 인물들을 휘감는 굵고 풍부한 블랙의 화필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그 내용은 가장 본질적인 상태의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해 단순화시킴으로써 감정 상태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작품 속의 형상들은 연속적으로 속도감 있게 변주되며, 선들은 작품을 개성과 활력으로 가득 채운다. 밑그림 없이 단 한 번에 그어 내린 필력은 이야기 전달을 위한 절제된 표현으로 세련됨을 더한다. 붓과 못, 조각칼로 화면에 깊이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검은색 안에 많은 다른 색상을 만들어 내는데 거대한 획이 지나간 자리에 쌓이고 있는 다양한 시간의 층위가 그가 단순히 리얼리티를 재현하고 있지 않음을 암시한다. 작품들은 표면에 가해진 즉흥적이고 직접적인 표현들은 감성을 자극하는 에너지가 더해짐으로써 더 많은 우연적인 회화의 깊이와 울림을 만들어 낸다.
김길후의 블랙 페인팅은 우울한 어둠을 벗어 던지고 내적인 아름다움을 건져 올린다. 김길후는 통용되는 부정의 어둠이 아닌, ‘따뜻한’ 어둠에 깔린 한국적인 정서를 이끌어낸다. 그러나 급속도로 변해가는 현대사회로 넘어오면서 ‘어머니 품 속 같은 어둠’은 도시 속의 수많은 군중 안에 갇힌 외로운 인간들의 불안한 존재감, 고독, 그리고 소외를 대변하는 오브제가 된다. 짙은 블랙으로 채운 종이 위를 못으로 긁고 망치로 두들겨 바늘처럼 내리꽂히는 날카로운 선을 만들고 검게 칠한 종이의 표면을 찢고 벗겨 내, 그 밑에 꼭꼭 숨겨져 있던 어둠의 하얀 속살과 못 자국의 ‘상흔(傷痕)’을 드러낸다. 흑백의 강렬한 대비, 판화에서나 볼 듯한 날카롭고 세밀한 선, 2차원적인 평면성의 강조 등의 작품들은 정형화된 인물이나 배경이 아닌 날것의 감정, 느낌의 표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번 전시는 국제적인 감성이 돋보이는 역량 있는 영남작가를 발굴하여 조명전시를 개최함으로써 공립미술관의 기능과 역할에 그 의미가 클 것이며, 아울러 21세기 동아시아 회화에 대하여 사유해 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The Thinking Hand_2013_162x112_Mixed media on canvas



The Thinking Hand_2013_194x130_Mixed media on canvas


The Wise Man_2013_162x130_Mixed media on canvas (2)


The Wise Man_2013_162x130_Mixed media on canvas (4)


The Wise Man_2014_200x200_Mixed media on canvas



김길후

1961년 부산 출생
1988년 계명대학교 회화과 졸업
1996년 계명대학교 회화과 석사졸업
2014년 서울과 중국 베이징을 오가며 작업 중

개인전
2014    심인(心印)-한국 김길후의 회화, 화이트박스갤러리, 베이징
2011 Deepest Black, 갤러리 터치아트, 헤이리, 파주 
2010   Inner Transcendence, 갤러리 아트사이드, 베이징   
2008 Splendid Sorrow, 대구보건대학교 인당박물관, 대구
2006 Man with Flower, 갤러리 분도, 대구
2005 비밀의 화원,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서울 
        관훈갤러리, 서울 
2003 Black Paper 갤러리M, 대구 
2001   공산갤러리, 대구

주요 단체전
2015 Hail to the Heaven, coquetry to God, Czech China Contemporary Art gallery, 베이징
지금, 여기,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한국현대미술초대전,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
      대구 LA전, 가이아갤러리, LA
      공간-세가지방법전,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4  시간 그리고 표면, 봉산문화회관, 대구
      존재의 꿈,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
      마음의 연금술전, 에다소소갤러리, 청도
2013  Matrix Tool전,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2  Beyond Multiple, 봉산문화회관, 대구
New Hot Korea・China・art exchange exhibition, 798 Space・ Gallery TN, 베이징
798 Festival, Energy・Pleasure・Affection, Seoul Auction Beijing Representative Office, 베이징
2011   Collage of Memories-Korean Contemporary Art, SOKA Art Center, 베이징
Another Landscape,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0 PURE DISTANCE, 북시티, 파주
White Tiger Exhibition, 갤러리M, 대구  
SOAF(Seoul Open Art fair), 코엑스, 서울 
2009   KIAF(Korea international Art fair), 코엑스, 서울
        화랑 미술제, 벡스코, 부산
2008   올드 앤 뉴 하모니, 수성아트피아, 대구
        블루닷 아시아, 예술의 전당, 서울
The Sensitive Vessel, 갤러리SAM,부산
The Revolution of Images, KT,대구
KIAF,코엑스, 서울
2007   새로운 한국회화전, 전주문화예술회관, 전주
Four People, 한기숙갤러리,대구
KIAF, 코엑스, 서울
2004   삶의 풍경 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표현미술의 새로운 방향, 우봉미술관, 대구 

awards
SAC2005 Young Artist(Seoul Art Center)

collection
Seoul Museum of Art,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Art Bank)
Suwon District Court, Hyundai, Kolon,Samschully Group, 
Bottegaveneta, Daegu Health College, Daegu MBC, Daegu Bank
hdchemtex(Hyundai chemical textile)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