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심경 박세원 회화전 : 박세원 마음의 밭을 갈다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전시개요

전시명 “박세원 마음의 밭을 갈다: 心耕 朴世元의 예술세계”展
일시 2016년 5월 4일 ~ 6월 26일
장소 이천시립월전미술관
개막식 2016년 5월 4일 오후 3시 / 장소: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출품작 박세원의 대표작 50여점
주관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주최 이천시


설악만추, 1983, 69x139cm



전시소개

슬로우 푸드(slow food)와 같은 산수화山水畵

현대사회에서 산수화山水畵는 ‘재미없고 심심해서’ 인기가 없는 그림이 되어버렸다.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서 사람들의 눈을 끄는 화려한 미술품과 이미지가 이곳저곳 도처에 널려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초적 감각을 자극하는 작품들이 무조건 좋고, 예술성이 뛰어난 것은 아니다. 게다가 첫 관람시의 자극은 이후 재차 관람 시 약해질 가능성이 크며 흥미마저 급격히 감소되기 쉽다. 마치 패스트푸드와 같다. 입맛을 사로잡지만 유익하지 않을 수 있다. 산수화는 반대다. 산수화는 자극적이지 않지만 몸에 좋은 슬로우 푸드와 같다.


현대화단의 산수화가山水畵家 박세원

박세원은 1922년 태어나 1999년에 세상을 떠났다. 한국 사회가 전통 사회에서 현대적 산업 사회로 변모하던 시기를 살았다. 동시기의 다른 화가들은 현대화라는 명목으로 전통적 표현과 기법을 버리고 급속히 서양의 방식을 따랐다. 박세원은 달랐다. 
그는 어디까지나 우리의 전통에 뿌리를 둔 현대화를 추구했다. 그가 그린 것은 다름 아닌 전통시대의 최고의 예술가들이 다루던 산수화였다.


“산수화의 근저에 흐르고 있는 특질들은 독특한 동양문화의 산물이며, 어떠한 현대의
조형적 실험에도 불구하고 져버릴 수 없는 고귀한 유산이다”
-박세원-

바로 박세원이 산수화에 매진했던 이유다.


강산추제, 1993, 69x135cm


박세원이 그린 이상경理想景과 실경實景

보통 산수화가들은 유토피아와도 같은 상상 속의 경치인 이상경理想景 혹은 실제 존재하는 경치인 실경實景 가운데 하나를 그린다. 그러나 박세원은 이상경과 실경을 모두 그렸다. 한 가지의 방식에 얽매이지 않았다.

또한 전통 산수화를 상당부분 따르면서도 현대적인 요소를 가미했다. 원근법과 산뜻한 채색법, 안개를 이용한 합리적인 공간 표현 등이 그것이다. 이로써 세련된, 모던한 산수화가 탄생한 것이다.

박세원은 실경산수화와 이상경산수화의 특징을 융합, 조화시켰다. 실제 경치를 그린 산수는 더욱 아름다워졌고, 이상적 경치를 그린 산수화는 보다 현실적으로 느껴지게된 것이다. 새로운 개념의 산수화가 등장한 것이다.


설악청하雪嶽淸夏, 1995, 종이에 수묵채색, 120x181cm


박세원, 마음의 밭을 갈다.

박세원의 산수화는 말초적인 감각을 추구하는 현대의 미술품과는 분명 거리를 두고 있다. 붓의 미묘한 흔적과 은은한 채색을 관찰하는 데에서 오는 즐거움, 보면 볼수록 느껴지는 잔잔한 감흥, 편안하게 마음을 가라앉혀 주는 화면 전반의 뉘앙스 등은 박세원 작품세계에 있어서는 중요한 특질이지만, 오늘날의 다른 작품들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워진 것들이다. 박세원의 산수화는 조급하지 않다. 조용하지만 강한 호소력과 예술성으로 관람자에게 다가간다. 현란하기 그지없는 현대 미술의 홍수 속에 박세원의 작품이 큰 의미를 지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박세원은 국가의 발전에 있어서 문화와 예술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고, 그 중에서도 미술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박세원이 ‘마음의 밭을 갈 듯’ 평생 매진하였던 산수화는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기 위한 그의 노력의 결과물에 다름 아니다.


청송백운, 1997, 69x136cm






심경 박세원 약력 (1922-1999)

1922 평안남도 개천군 출생
1950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1953 서울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졸업
1954-87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1978-81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학장
1979-81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위원
1987-91 덕성여자대학교 미술대학 대우교수
1980-99 칠레국립대학교 명예교수
1996-99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명예교수

주요 수상
1966 · 1976 · 1983 서울대학교 총장 공로표창
1987 문교부 장관 공로 표창
1984 대한민국 군민훈장國民勳章 모란장牧丹章
1996 법무부 장관 공로 표창
1997 대한민국 보관寶冠 문화훈장文化勳章

개인전
1978 미국 로스앤젤레스, Han's Gallery
1980 칠레 산티아고, 칠레국립미술관
1985 서울, 동산방화랑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