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인투드로잉 31 박명미 : 낮은 물음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소마드로잉센터 공모 당선작가 개인전 
“Into Drawing 31(박명미)”展 개최

● 소마드로잉센터 공모 당선작가 개인전 “Into Drawing 31(박명미)”展 개최
● 죽은 화초를 통해 기존의 자본주의적 가치, 물질주의 세상에서 진정한 가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드로잉, 오브제, 회화, 설치 등 10여점 소개

국민체육진흥공단 소마미술관(윤동천 명예관장)은 참신하고 역량 있는 작가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드로잉 전시를 지속적으로 이슈화하고자 매년 작가공모를 실시하여 최종 선정된 작가들의 전시회를 “Into Drawing”이란 이름으로 개최합니다. 올해는 2015년도 드로잉센터 작가공모에 선정된 작가 3인의 개인전으로 진행됩니다. 금년 두 번째 전시로 10월 7일부터 10월 23일까지 개최되는 “Into Drawing 31”는 “낮은 물음 (The Low Question)”라는 부제로 박명미의 드로잉 설치 작업을 선보입니다. 자신의 작업이 세상과 소통에 가교가 될 수 있을지 물음에서 시작한 잡초드로잉에서부터 간절한 마음으로 그리는 나무 드로잉 그리고 보잘것없어 보이던 잡초에게 금빛의 옷을 입혀주는 금초 드로잉까지 보는 이에게 하여금 진정한 가치에 대해 되새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드로잉으로 풀어내는 작가의 개성과 상상력 그리고 드로잉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과 실험정신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본 전시는 소마미술관 메인 전시 (어느 곳도 아닌 이곳)과 함께 관람 가능합니다.


      ㅇ 전 시 명 : Into Drawing 31(박명미)_낮은 물음(The Low Question)
      ㅇ 전시기간 : 2016. 10. 7(금) ~ 10. 23(일)
      ㅇ 전시오픈 : 2016. 10. 6(목) 오후 5시, 소마미술관 드로잉센터 전시실
      ㅇ 주최․주관 : 국민체육진흥공단 소마미술관
      ㅇ 후    원 : 서울문화재단
      ㅇ 전시장소 : 소마드로잉센터 전시실(제1전시실)
      ㅇ 전시작가 : 박명미(Myungmi Park)
      ㅇ 출 품 작 : 드로잉, 오브제, 회화, 설치, 영상 등 10여점 



    ▶ 온 몸으로 기억하기
    1. 
    공중에 매달린 묵직한 종이는 벽을 통해 나온 빛에 의해 고요히 발광하는 중이다. 바닥에 쓰러져 가는 작은 주검들을 끌어안듯 떠있는 네모난 어둠은 관람객에 의해 일렁인다. 벽을 통해 비집고 나온 작은 빛들은 무슨 말을 할 듯, 하지만 소리 없는 응시로, 마치 엄마 뒤에 숨은 어린아이의 눈길과 닮아있다. 무슨 말이 하고 싶은 걸까. 작품에 가까이 다가서면 그들은 마음 안에 가두고 있는 말을 입술 끝에 매달아 입을 반쯤 열어 놓은 채 있다. 그 열린 틈 사이로 터져 나오는 원망은 빛이 되어 전시장 이곳저곳을 떠돌고 관람자의 몸과 마음에 실려 함께 넘실댄다. 죽은 나무, 죽은 화초, 검게 흐르는 캔버스. 마치 사진에서의 스투디움(Studium)처럼 전시장에 감도는 평균적인 감정은 우리에게 어떠한 사건을 불러일으킬 수 밖에 없다. 그 사건은  바다가 가진 포근한 어머니의 이미지를 자비 없이 갈퀴질해갔다. 

    빛은 직진하는 성질이 있다. 우리에게 들리지도 보이지도 않지만 우주를 날아서 다른 별까지 도달하는 것이 빛이다. 박명미의 작품은 소리 내어 말하지도 구구절절이 쓰여 있지도 않지만 그의 마음은 우리에게 전달된다. 진도해협 깊은 바다. 그 커다란 아가리가 삼킨 300여개의 보석들. 끝까지 부르기에 목이 타들어가는 그들의 이름. 하지만 그들은 깊은 차가움 속에서도 빛나고 있다. 빛은 어쩌면 작가가 이용할 수 있는 최고의 수단이자 내향적인 그가 휘두를 수 있는 유일한 무기였을지도 모른다. 

    2.
    작가는 자신이 낳은 회화가 자신의 품 밖으로 나갈 수 있을까, 그것이 세상과 소통의 다리가 될 수 있을까 궁금했다. 예술가로서 관객과 소통이 부족한 점을 고민하던 그는 부산 예술레지던시 활동을 계기로 세상을 향한 퍼덕임을 시작했다. 자신만의 작업실, 캔버스, 물감을 떠나 눈길을 밖으로 돌렸다. 그의 따스한 손길은 길가의 이름 모를 풀(이하 잡초)들에게 닿았고, 그 잡초들에게 각자의 보금자리(음료수 테이크아웃컵)를 만들어 주었다. 그 잡초들은 자신들도 하나의 똑같은 목숨이란 걸 주장하듯이 값을 치루고 구입한 식물들과 섞여 동일한 조건의 비용을 받고 판매되었다. 그 과정에서 팔려 새 주인을 맞은 잡초와 박명미에게 영원히 남은 잡초들로 갈라졌다. 새 주인을 맞은 잡초들은 자신의 이름, 경제적 가치, 의미 등이 담긴 ‘소비문서’라는 하나의 신상명세서를 만들게 된다. 그 순간 그 잡초는 값어치로 따질 수 없는 값진 어치를 가진 존재가 된다. 

    생텍쥐페리(Saint Exupery)의 소설 <어린왕자(Le Petit Prince)> 속의 어린왕자가 지구에서 수천송이의 장미를 만났을 때 ‘보통 사람들이 너희를 본다면 내 장미와 비슷하다고 생각할지도 몰라. 하지만 나에게는 나의 장미꽃 한 송이가 수백 개의 다른 장미보다 훨씬 중요해‘ 라는 말을 한다. 우리 모두는 다른 사람에게 아무것도 아니지만 각자에게 특별한 가치를 가진 존재가 있다. 어린왕자의 한 송이 장미처럼 소비자에게 중요한 존재로 다시 태어난 잡초는 새로운 주인과 서로를 길들이고, 팔릴 때의 모습 그대로 파라핀 속 드로잉으로 남게 된다. 파라핀 속에 봉쇄 되어있는 드로잉은 플라톤의 저서 <테아이테토스(Theaitetos)>를 떠올리게 한다. 고대의 메모장은 쓰고 지울 수 있는 밀랍판이었는데, 밀랍판에 새겨있는 기록은 알고 있지만 밀랍이 물러 지워지면 그 사실을 잊는다. <테아이테토스>에서 소크라테스는 머릿속에 쓰이고 잊히는 기억을 밀랍판에 비유한다. 작가의 파라핀 속 드로잉은 절대 지울 수 없는 기억의 방법을 재현한 듯 보인다. 한편, 팔리지 않고 남겨져 죽은 잡초는 금색종이와 실, 금분으로 드로잉 된다. 그리고 올림픽공원 곳곳에 매주 5개씩 심고, 매주 작가 스스로 기억을 더듬어 그들을 찾아간다. 

    박명미의 작업을 통해 우리가 말하는 ‘기억한다’라는 것이, 과연 무엇을 ‘하는 것’인지 아니면 무엇인가를 ‘당하는 것’인지 깊이 생각해보게 한다. 어떠한 일이 나를 관통하여 지나가면 그건 경험이다. 그 경험을 관통 없이 다시 겪는다면 그것은 기억이다. 이 기억(memory)은 외부의 접근으로 상기되었을 경우와 능동적으로 불러내어 내안에 새기는 경우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아마 전자는 추억(recall), 후자는 암기(memorization)에 가깝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매일 더 높아지는 망각의 성 속에 살고 있기 때문에 외부의 기억과 점점 멀어진다. 작가는 망각의 성보다 긴 머리를 길러 성 밖의 기억에게 늘어뜨려 주는 후자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작가는 흐려지는 기억 속에 반복적인 행위로 죽은 화초를 찾는 행동과 시간이 지날수록 희박해져가는 진도해협의 희생자를 찾는 행동이 결부되어 있음을 느꼈고, 자발적으로 경험을 반복하여 죽음을 기억(memento mori) 하고 있다. 그는 죽은 잡초를 통해서 우리가 바닷속 희생자들에게 약속한 ‘기억하겠습니다’를 어떻게 기억해야하는지 현시(㬎示)하고 있다. 

    이미 죽은 잡초와 시간을 나누는 일, 죽은 나무에게 물을 주고 그의 초상화를 그려주는 일은 아무런 금전적 수입을 가져다주지 않는다. 자본주의의 시각에서 보면, 작가가 수행자처럼 온 몸(또는 온 마음)으로 기억하는 작업은 시간과 노동력을 낭비하는 것으로 보일 뿐이다. 머리 한구석에 자리하면 언젠가 떠오르기 마련인 일을 의무감을 가지고 할 필요는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지난 2년간 거대한 그리움, 아득함, 비통함 속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라곤 기억하는 것 단 하나 뿐인 초라하고 부끄러운 시간 속을 걷고 있다. 쓸데없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유일한 의의를 갖게 되는 이 시간, 그가 의무감 속에 잡초로 보여주려 했던 증명은 ‘과연 무엇이 중요한 것인가?’ 라는 질문을 우리에게 던지고 있다. 박명미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이 중요성의 전환을 시각적으로 재현하듯이 죽은 잡초 초상화를 금실과 금분으로 환생시킨다. 금빛 잡초는 하릴없이 여겨졌던 모든 일들의 승리를 상징하는 듯 각자의 무대에서 홀로 빛나고 있다. 또한 영원히 변색되지 않는 금처럼 그들의 아쉬운 죽음을 변치 않고 기억하겠다는 의지처럼 보이기도 한다. 작가의 작업 동기가 되는 타르코프스키의 영화 <희생>를 보면, 절망 속에 있던 주인공이 죽은 나무에 물을 꾸준히 주어 나무를 살려낸다. 같은 일을 계속하다 보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희망을 품고 온몸으로 기적을 이루어낸다. 작가의 파라핀 속 드로잉, 금초 드로잉, 49일간의 죽은 나무 드로잉은 작가의 죽은 식물이 진심과 꾸준함으로 인해 위로와 재생을 얻길 바라는 염원이 담긴 온 몸으로 했던 기억이다.

김달가이(SOMA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 드로잉 단상 

세계는 빠르게 변하고 있었고 그 속도에 밀려 절벽 끝에 서 있었다. 
그 앞에 깊고 차가운 바다가 보였다. 
심연을 들여다보니 꽃이 없고 잎만 있는 화분 하나가 희미하게 보였다. 
잎이 없고 꽃만 있는 화분보다 꽃이 없고 잎만 있는 그 화분이 좋았다. 
첨 벙. 
끝없이 낙하했으며 추락했다. 
낙하하고 낙하하는 와중에는 짐승의 울음소리와 새들의 지저귐, 개미가 기어 다니는 소리가 시끄러웠다. 
귀 기울여 한참을 들어보니 그것은 큰 리듬 안의 거대한 하나의 신들의 합창이었다. 
도착한 곳은 깊고 어두운 숲 속. 별들이 반짝였다. 
잎만 있는 화분은 주춤거리면서도 조금씩 잘 자랐다.
폭풍이 불 때면 꺾이기도 했다. 
시들어진 화분을 들고 한 단계 더 깊숙한 심연에 닿았다. 
다시 제로(0)가 되었다.
단단하고 고요한 느낌이다.
어느새, 꺾인 잎 사이로 새 잎이 돋아나고 있다. 
그 잎을 보고만 있다.

■ 박명미

박명미 (Myungmi Park)

2010 숙명여자대학교 회화과 졸업 및 동대학원 졸업 
2005 건국대학교 생명환경과학 졸업 

개인전 
2016 Into Drawing 31-낮은 물음, 소마미술관 드로잉센터, 서울
2011 Human Deconstruction, Lionel Rombach gallery, AZ, USA 
     말(言)의 뒷면, 박수근미술관 정림리 창작스튜디오, 양구 
2009 윈도우전 47-인간되기 프로젝트, 갤러리 진선, 서울 

단체전 
2016 SOS :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 스페이스XX, 서울 
      The gray : 자연스레 생각나는 것-박명미, 정윤주 2인전, 예술지구_p, 부산 
2015 형형쉑쉑/금사일기-예술지구_p 입주작가전, 예술지구_p, 부산 
2013 이중섭미술관 4기 입주작가전, 이중섭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전시실, 제주 
2012 생각의 지도 마음의 저편, 이중섭미술관, 제주 
2010 Attention Please! Young Artists Collection, 갤러리 진선, 서울 
2008 Studio Unit _ Open Studio, 예술공간 Hut, 서울 

선정 
2016 서울문화재단 비기너스(Beginners) 프로젝트 선정작가
2016 2016-2017 송은아트큐브 전시지원 선정작가
2015 소마미술관 드로잉센터 아카이브 등록, 전시지원 선정작가
2011 박수근미술관 정림리 창작스튜디오 갤러리, 잇다 프로젝트 선정작가
2009 윈도우 갤러리진선, 작가지원 프로그램 

레지던시 
2015 예술지구_p 2기입주작가, 부산 
2012 이중섭미술관4기 입주작가, 제주 

작품소장
이중섭미술관


  □ 관람 안내
1. 관람시간 : 10:00 - 18:00
   ※ 17시 20분까지 입장 가능
2. 휴 관 일 : 매주 월요일
3. 입 장 료 : 메인 전시(어느 곳도 아닌 이곳) 관람 시 무료 관람
   ※ 메인 전시(어느 곳도 아닌 이곳) 관람료
      ㅇ 성인 : 개인 3,000원 / 단체 1,500원
      ㅇ 청소년(13-24세) : 개인 2,000원 / 단체 1,000원
      ㅇ 어린이 : 개인 1,000원 / 단체 500원
         ※ 단체 : 20인 이상  
4. 문화의 달 (무료입장)
   ㅇ 일    시 : 2016년 9월 23일(금) ~ 10월 30일(일)
   ㅇ 장    소 : 소마미술관 전관
   ㅇ 주요내용 : 전체 관람객 무료입장 (10:00-18:00, 입장마감 17:20)
※ 문화가 있는 날 주간은 기존과 동일 (매월 마지막주 수요일 및 금요일 야간 개방 및 무료입장) 
   ㅇ 일    시 : 2016년 9월 28일, 9월 30일, 10월 26일, 10월 28일
   ㅇ 장    소 : 소마미술관 전관
   ㅇ 주요내용 : 야간 연장 개관(10:00-21:00, 입장마감 20:20) 및 전체 관람객 무료입장
4. 홈페이지 : soma.kspo.or.kr   
5. 문    의 : 02-425-1077(내선 332)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