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이충우 : objets singuliers 또는 재현을 위한 도구들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사적언어'
2019년 하반기 기획공모전 작가

 이충우 ‘objets singuliers 또는 재현을 위한 도구들’ 展
2019. 7. 31 (수) ~ 2019. 8. 6 (화)







1. 전시개요
■ 전 시 명: ‘사적언어’ 2019년 하반기 갤러리 도스 신관 기획공모_
             이충우 ‘objets singuliers 또는 재현을 위한 도구들’ 展
■ 전시장소: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28 (갤러리 도스 신관)
■ 전시기간: 2019. 7. 31 (수) ~ 2019. 8. 6 (화)

2. 전시내용

 이충우 작가의 이번 전시에서는 화가가 어떠한 장면과 상황을 재현할 때 쓰여지는 ‘도구’들이 작품이 된다. 화가에게 도구란 재현을 위해 필요한 물건이다. 그 도구를 재현해내면 그것은 복제해낸 오브제이며 모양만 닮은꼴일 뿐 사용가치를 상실한다. 갤러리도스에서 열리는 2019년 하반기 기획공모 ‘사적언어’의 선정작가인 이충우는 오브제화된 대상을 전시장에 늘어놓음으로써, 재현과 복제 그리고 도구에 대한 그 관계들을 이야기한다.

(작가노트)

  재현의 방식에서 표상되는 언표와 언술행위의 관심에서 비롯되어진 작업은, 저작활동 중 재현을 하기위해 사용되는 그들의 생각과 도구와 대상에서 모티브를 가져와 작품을 제작한다.
 ‘말하기’와 같은 행위와 화가가 한줄 한줄 그어나가는 ‘선긋기’, 글을 쓰는 작가가 한자 한자 적어나가는 ‘쓰기’, 즉 글쓰기의 저작행위와 그리기는 같은 활동인 등가적 형태를 띠고 있다고 생각을 하며, 이 모든 활동들이 대상을 재현하고 심상을 재현하는 것이라 보고 있다.
 재현의 방식에서 그 대상과의 유사성은 그림을 그림처럼 보이게 하는 매우 중요한 코드이며 텍스트와 이미지가 의미작용이 원활히 작동되어지려면, 지시물과 등가적 위치에 놓여야 그 지시대상의 통사적 해독을 한다. 그 지점에 어긋난 언술행위는 난독 증에 빠진 듯 어려움을 겪는다. 그러나 바로 그러한 자리에서 새로운 재생산(reproduction)이 이루어지며 그러한 층위들을 말하려 하였다. 이는 각각의 주체가 올라오는 순간들이며 나를 나이게끔 하는 지점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재현에 필요한 도구들을 복제하고 모양은 닮은꼴이지만 사용가치를 상실한 도구들과 오브제화된 대상을 전시장에 놓음으로써 그 관계들을 이야기하려한다.

 이충우 작가의 이번 전시에서는 화가가 어떠한 장면과 상황을 재현할 때 쓰여지는 ‘도구’들이 작품이 된다. 화가에게 도구란 재현을 위해 필요한 물건이다. 그 도구를 재현해내면 그것은 복제해낸 오브제이며 모양만 닮은꼴일 뿐 사용가치를 상실한다. 갤러리도스에서 열리는 2019년 하반기 기획공모 ‘사적언어’의 선정작가인 이충우는 오브제화된 대상을 전시장에 늘어놓음으로써, 재현과 복제 그리고 도구에 대한 그 관계들을 이야기한다.





objets singuliers ‘또는 재현을 위한 도구들’_installation_혼합재료_2019







특이한 대상들 또는 재현을 위한 도구들_40.9×31.8cm 15piece, 34.8×27






3. 작가약력
2014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박사 수료
2011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석사 졸업
2003  청주대학교 예술대학 회화과 학사 졸업

개인전
2016  특이한 대상들(objets singuliers) 또는 재현을 위한 도구들, 프로젝트 스페이스 우민,         우민아트센터, 청주
2015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기획전 “특이한 대상들”, 청주미술창작studio, 청주
2010  지-루한 글쓰기, 팔레 드 서울, 서울
2010  토끼 굴로 떨어지다-증언1, 쿤스트독 프로젝트 스페이스, 서울
2008  From text to image, 청주미술창작studio, 청주
2007  figural shape in book, artforum Rhee, 부천

Residency
2007  청주미술창작 studio 입주작가

2인전
2003  CAF2002 특별전, 신 미술관, 청주

Project
2013  ‘2013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황학별곡 (신당창작아케이드, 서울)
2012  SATOYAMA ART Festival (Mizuno Forest, Sayamashi, Japan)
2006  Art in City 숭산프로젝트 (숭산초등학교, 합천)

단체전
40여회







특이한 대상_180×120×120cm_혼합재료_2019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