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권녕숙 展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마리나 갤러리 전시 소식

70여년 동안 예술가의 길을 걷고 있는 권녕숙(Kwon nyung souk, 1938-)의 개인전을 2024년 1월 20일부터 2월 25일까지 마리나갤러리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그동안 공개하지 않았던 프랑스와 독일 유학시절 작업한 여러 종류의 동물 세라믹, 칠보공예, 목각 등과 미국 워싱턴 국회의사당 도서관과 네덜란드 미술협회(Maastricht kunstverein)에 소장된 판화 작품을 포함한 전시로 1956년 고등학교 3학년부터 현재까지 작업한 구성, 판화, 템페라, block glass, 회화 등을 연대순으로 전시한다. 오랜기간 서예에도 심취해 수년간 미적인 글씨를 썼던 작가는 ‘판화를 할 때도 붓글씨 쓰듯 파내는 작업을 했다’고 한다. 

The solo exhibition of Nyung Souk, Kwon (1938-), who has been an artist for over 70 years, will be held at Marina Gallery from January 20th to February 25th, 2024. This exhibition includes various types of animal ceramics, cloisonné crafts, and wood carvings made while studying in France and Germany, which had not been shown to the public before, as well as prints collected in the Library of Congress in Washington, D.C. and the Dutch Art Association (Maastricht kunstverein). Compositions, prints, tempera, block glass, paintings, etc. worked from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in 1956 to the present are displayed in chronological order. The artist, who has been fascinated with calligraphy for a long time and has been writing aesthetic calligraphy for many years, is said to have “..done digging in making prints as if writing calligraphy”



1956, plate, 구성 및 채색, 22.5x22.5cm


1964-1969, 호랑이, 기린, 들소, 코끼리1, 코끼리2, ceramic


1965, bouzouki(그리스전통악기),  egg tempera, 20.2x20.2cm






권녕숙 Kwon nyung souk

1938 서울 출생
1961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B.F.A)
1964 - 1969 프랑스 파리 국립미술대학 판화과 수학
1965 - 1967 프랑스 Zographos Atelier 템페라 수련
1972 - 1974 독일 뉘렌베르그 평생교육원 금속공예 수학

경력 및 수상
1978 – 1994 고려대학교, 경희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신여대, 성심여대, 국민대 강사
1987 – 1989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 서울미술대전 추천위원
2001 가톨릭미술상 회화부문 본상
개인전 및 단체전 다수

작품소장
미국 워싱턴 국회의사당 도서관
네덜란드 Maastricht kunstverein
서울시립미술관
서울주교좌 명동대성당
충북 제천 베론성지 성당
강원도 인제 다물 피정의 집 성당
천주 섭리회 수녀원 등 다수


1967 밀림  The jungle.  engraving. 11x12.5cm 


1972-1974, plate, 칠보, 14.8x13.2x1.5cm


1972-1974, 뉘렌베르크 풍경,  칠보, 26.4x21cm





화업(畫業) 70년에 빛나는 예술혼

서양화가 권녕숙(1938-)은 경기여중고와 서울대를 졸업하고 1960~70년대에 파리와 독일 유학의 엘리트 코스를 경험한, 당시로서는 몇 안 되는 신여성 작가다. 또한 대학 졸업 무렵인 1962년부터 가톨릭에 귀의한 후 평생을 한국 교회미술 발전에 초석을 다진 인물이다.

그가 교회미술을 시작한 계기는 유학 시절 학비 마련을 위한 아르바이트로 템페라를 접하면서부터다. 유럽의 문화는 교회미술의 절대적인 자원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젊은 날의 이런 경험들이 화업 구축의 자양분이 되었다. 무엇보다 교회미술에 참여하는 작가들은 세속적인 가치보다는 신앙심에 근거한 봉헌의 삶에 의의를 두는데, 그 역시 전국적으로 다수의 성당 작업에 참여하는 동안 그런 삶을 살았다. 

이번 전시는 고등학생 시절인 1956년 초기 작품 <plate>부터 1964~69년까지 프랑스 유학 중에 만들었던 동물 모양의 세라믹과 <최후의 만찬> 등의 템페라 작품, 1972~74년까지 독일에서 만든 <bowl> 등의 칠보 작품과 한국에 돌아와 가톨릭미술가회원으로 전시 활동에 참여하기 시작한 무렵에 제작한 목조각 <성모상>, <성모자상> (1975~80)을 선보인다.  또한 파리에서 제작한 판화작업 중 명쾌하고 정교한 선으로 표현된 인그레이빙(engraving)기법의 <알프스 산>, <밀림>(1967)과 한국에서 판화가로 활동하면서 발표한 목판화 <승천>(1974)부터 <북한산>(2014) 등의 최근작까지 다수의 판화작품이 포함된다. 

여기에 덧붙여 아름다운 색과 빛을 담은 유리블록(2018)과 가장 최근작인 <빛으로>(2023)를 비롯한 유화 작업까지 그간의 노력과 수고를 담은 예술 활동의 궤적을 보여준다.

다양한 장르를 통해 그가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는 절대 선(善)을 추구하는 인간의 정신적인 빛에 있다. 빛이란 생명을 드러내는 것으로 다른 존재를 활성화하는 힘이 있다. 

권녕숙은 “제대로 된 선(線) 하나를 그리기 위해서는 긴 시간의 깊은 명상이 필요하다.” 고 말한다. 그는 시시각각 떠오르는 감성적 표현을 선의 다양성과 선이 모여 만든 면과 명암을 통해 드러내고자 애썼다. 따라서 그 형태가 무엇이든 지각된 선은 적극적인 탐색의 기능을 가지며 관람자의 자유로운 해석이 부여된다.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1866- 1944)는 ‘예술 작품에 있어서 내적인 요소는 예술가의 영혼 속에 있는 감정이며, 이 감정은 관람자에게 유사한 감정을 환기시키는 능력을 가졌다’고 논문(Berlin, 1913)을 통해 밝힌 바 있다. 
인생의 황혼기에 고단한 일생의 궤적을 선한 영향력인 예술로 승화시켜 그 업적을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다.  성실하게 열심히 살아온 그의 삶이 충분히 아름답다는 사실에 동의하며 그 어려운 일들이 현재진행형임에 존경의 박수를 보내고 싶다. 

글. 홍희기 교구 성미술연구, 서울디지털대학교 겸임교수


1978. 승천  Asspmption.  woodcut. 38x55cm


1984. 겨울산의 노을 The sunset of winter mountain.  engraving. 35x25cm


1992. 남태평양Ⅰ  The south pacificⅠ.  etching+aquatint. 60x40cm





전시명; 권녕숙 展
기간; 2024. 1. 20 – 2. 25 /opening 1.20(토) 2P.M.
시간; 수~일(11A.M.~5P.M.) /월, 화 휴관
장소; 마리나 갤러리(010-3766-8280)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호수로817 레이킨스몰260호(백화점2층 연결통로 앞)
주차; 현대백화점킨텍스점/무료주차




2003, 돌고래군무,  oil on canvas, 30호


2012. 고요,  acrylic on canvas, 53x45cm-1


2013. 봄을 기다리며  The waiting for springtime.  engraving. 25x 25cm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