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이해기: 금빛으로 피어난 싯다르타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토포하우스 서울 : 2025.04.23.(수) - 05.05.(월)

토포하우스 대구 : 2025.05.13.(금) - 05.31(토)

불기 2569년인 2025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조계종의 본산인 조계사 가까이에 있는 인사동 토포하우스에서, 이어서 대구에 있는 토포하우스에서 깊은 사유와 예술의 품격을 겸비한 뜻있는 전시를 개최합니다.

평생을 금빛 불모(佛母)로 살아온 작가 이해기는 부처님의 삶을 금니로 표현한 장엄으로 많은 찬탄을 받았습니다. 특히 이번 전시는 작가의 삶에서 가장 왕성한 필치로 활동했었던 40대에 완성한 ‘부처님의 일생’ 시리즈 40점을 선보이게 됩니다.
불교가 한반도에 전래된 지 1700여 년의 흐름 속에서 부처님의 일생을 한 사건, 하나의 이미지로 담아낸 회화 작품은 거의 볼 수 없었습니다. 팔상도의 영향 때문인지, 부처님의 생애를 개별 사건 중심으로 한 장면에 담아낸 작업은 <석보상절>과 같은 목판 도판 외에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동국대학교 미술학과 졸업 후에 독창적이면서 현대적인 불교화를 그리던 작가 이해기는 1999년, 금을 재료로 부처님의 일생을 그려보겠다는 서원을 세웠습니다. 이 작업은 단순한 창작이 아니라, 대학 시절부터 꿈꿔왔던 현대 사회에 꼭 필요한 ‘감상용 불화’를 향한 오랜 염원의 실현이기도 했습니다.
감상용 불화는 사찰에서 치성을 올리는 예배용 탱화와는 다르기에, 작가는 그 새로운 개념의 불화를 직접 만들어내고자 발원하고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누구나 집 안에 걸어둘 수 있는 작품, 일상 속 불화 작업을 위해서는 내용과 형식의 혁신적인 변화가 필요하였습니다. 작가는 그 새로운 개념의 불화를 직접 만들어내기로 했습니다. 
무릎을 꿇고 앉아 예리한 세필로 이루어지는 그의 작업은 수개월을 거쳐야 하나의 작품이 간신히 태어납니다. 
그렇게 1999년부터 2005년까지, 6년 동안 부처님의 일생을 30개의 장면으로 완성했습니다.고려시대 금니 변상도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현대 회화의 감각을 담아 금(金泥畵)으로 표현했습니다. 눈으로 확인할 수 없을 정도의 매우 세밀한 선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작품 29점을 ‘금니로 보는 부처님의 일생’을 주제로 2004년에 전시하였고, 그 이후 부처님의 생애에서 가장 핵심적인 네 장면—탄생, 성도, 초전법륜, 열반—을 대형 화면으로 따로 제작하여 2007년에 마무리했습니다. 
이번 ‘금빛으로 피어난 싯다르타’ 전시에서는 40세에 시작해 48세까지, 8년간 전념해 완성한 ‘부처님의 일생’ 시리즈 40점을 비롯하여, 부처님의 뒷모습에서 스스로 자기자신과 만나는 ‘Looking myself(나를 만나다)’시리즈, 그리고 ‘색즉시공(色卽是空)’,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등의 불교 사상을 꽃과 해마, 나비 등을 통해 나타낸 근작 30점을 전시합니다. 
싯다르타를 금빛으로 만나는 소중한 순간을 경험하는 특별한 전시에 초대합니다.


천상천하유아독존, 48.2x45.2cm, 감지에 금, 2001


* 추천사 : 구담스님(영화감독)

삶은 업연(業緣)에 의해 성장하고 가꾸어진다. 
처음 이해기 작가를 본 건, 필자가 법련사 불일미술관 학예실장으로 근무할 때다.
그가 이룩한 ‘부처의 일생에 관한 금니화’에 반했고, 망설임없이 작품에 프로포즈했다.
바로 초대전을 열었다. 뭔가 부족했지만 우리는 행복했고, 즐거웠다.
왜? 그가 그린 부처는 마블 영화의 히어로보다 강했지만 동시에 슬퍼서였다.
돌아선 부처의 뒷모습이란, 얼마나 뼈저린가.
그 후로 각자의 삶을 지내면서 가끔 인사를 나누는 데
아픔을 딛고 일어선 작가가 히어로처럼 보이기 시작했다.
이번 전시도 그렇다.

작가소개

이해기 Lee Haegee (1959 ~  )
동국대학교 미술학과 졸업

개인전
2024 스스로 빛이 되어, 토포하우스, 서울, 대구
2017 개인전, 심여화랑, 서울
2016 싯다르타전, 불일미술관, 서울
2012 개인전, 선아트스페이스, 서울
2008 개인전, 가진화랑, 서울
2004 미술세계 기획 개인전, 갤러리 라메르, 서울
등 11회

단체전
2024 Blue전, 갤러리 라메르, 서울
2016 Catholic & Buddhism 아름다운 만남전, 불일미술관, 서울
2014 Window of K-Art, Casablanca Mall, Jacarta, Indonesia
2012 Lotus et Bouddha, Paris, France
2011 한국러시아문화수교미술전, GM18 Gallery, Saint Petersburg, Russia
2011 한국러시아문화수교미술전, Les Oreades Gallery, Moscow, Russia
2011 Seeing Buddha, 주독일한국문화원, Berlin, Germany
2010 Buddha전, 갤러리 라메르, 서울
2009 Cuve, Space DA, Beijing, China
2004 소통전, 동국갤러리, 서울
등 20회

기타
2011 제26회 대한민국불교미술대전 심사위원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