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고 투명하고 깨어있는≫ 전시 그래픽, 제공 아트선재센터, 디자인 신덕호. ⓒ 2025. Art Sonje Center all rights reserved
《맑고 투명하고 깨어 있는》
: 예술을 통해 생명의 회복을 상상하다
아트선재센터×마드리드 기반 TBA21 특별 협력 전시
스페인 현대미술 작가 10인 참여, 큐레이터 추스 마르티네스 기획
아트선재센터와 스페인 마드리드에 기반한 TBA21 티센보르네미사 아트 컨템포러리(이하 TBA21)는 2025년 5월 9일부터 7월 20일까지 TBA21의 소장품을 중심으로 구성한 전시 《맑고 투명하고 깨어 있는》을 개최한다. 초청 큐레이터 추스 마르티네스가 기획한 이번 전시는 스페인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10명의 작품 30점을 선보이며, 한국과 스페인이 공유하는 문화적·사회적 관심사를 바탕으로 예술을 통한 상호 이해를 도모한다. 특히 자연과의 연대가 시급한 양국의 공통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인간과 비인간의 회복 가능성과 새로운 관계 맺기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TBA21은 2002년 마드리드에 설립된 예술 재단으로 1,000여 점이 넘는 현대미술 작품을 소장하고 있으며, 전시와 교육, 시민 참여 활동을 아우르며 공동체와 환경에 변화를 꾀하는 다양한 사회 공헌 프로그램을 펼치고 있다. 《맑고 투명하고 깨어 있는》은 TBA21 소장품 중 추스 마르티네스가 엄선한 스페인 현대미술 작가 10인의 작품을 소개한다. 전시는 한국과 스페인이 공유하고 있는 공통점을 살펴보는 것에서 시작된다. 두 나라 모두 반도 국가이며, 자본주의의 부상으로 민주화를 이루었고, 도시로 인구가 집중되면서 농촌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구술 전통과 민속, 허구를 활용하여 기록된 역사와는 다른 서사를 펼치는 작가들의 작업을 통해 오늘날의 한국 사회를 스페인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나아가 시간과 장소, 자연과 사람과의 관계를 탐험한다.
이레네 데 안드레스는 한때 마드리드의 중심지였으나 지금은 소외되고 오염된 만사나레스(Manzanares) 강을 주목하며, 그 오염과 회복의 과정을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영상 작업을 통해 재조명한다. 디에고 델라스는 와인, 차, 아마씨 기름으로 얼룩진 대형 캔버스를 통해 타로 카드 혹은 부적을 상기시키는 상징적인 언어를 구축한다.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주택 양식과 가정의례에 뿌리를 둔 그의 작품은 신비로 가득 찬 농촌 공동체의 기억을 불러일으킨다. 크리스티나 루카스는 각각 한반도와 이베리아 반도에 공중전으로 폭격이 있었던 장소를 한 땀 한 땀 수놓은 작품을 공개하며 한국전쟁과 스페인 내전에 대한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환경에 새겨진 깊은 상처를 드러낸다. 레히나 데 미겔은 스페인 남부 광산 지역 리오틴토(Riotinto)의 다층적인 역사와 신화 그리고 생태계를 탐구하는 영상 작품을 선보인다. 더불어 데 미겔은 지구의 자원 채굴을 넘어 정복과 이주에 대한 새로운 상상의 영역으로서 목성의 위성 중 하나인 유로파를 다룬 벽화를 아트선재센터 전시장에 새로 제작한다.
아순시온 몰리노스 고르도는 스페인, 라틴 아메리카, 카리브해 그리고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여전히 행해지는 고대 기상 예보 방식을 다루는 영상 작품을 통해 고대의 지식이 기후 위기를 헤쳐 나가는 도구로 자리잡을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또한 물을 저장하고 운반하는 데 사용되었던 다양한 도기들을 활용한 조각 작품을 함께 선보여 오늘날의 물 공급 시스템에 의문을 던진다. 클라우디아 파제스의 영상에는 스페인 샤티바(Xàtiva)에 위치한 두 고대 저수조가 등장하며, 수 세기동안 그 위로 그라피티가 덧입혀진 모습을 그린다. 작가는 이를 통해 몸, 장소 그리고 언어의 퇴적된 층위로 시간이 새겨지는지 현상을 조명한다. 벨렌 로드리게스는 월페이퍼 작업 위로 작가가 손수 제작한 의복과 사진을 함께 전시한다. 특히 의복은 로드리게스의 이전 작업에서 사용된 천을 천연 염색한 후 직조하여 제작됐으며, 작가는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불규칙성을 자연의 예측 불가능성에 빗댄다. 테레사 솔라르 아부드는 고래, 조개껍데기 그리고 터널 굴진기의 형상에서 착안한 조각 작품을 소개한다. 작가의 손에 의해 새로 탄생한 생명체와 같은 조각 작품은 생물학적인 것과 기계적인 것, 신화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 사이의 관계를 탐색한다. 다니엘 스티그만 망그라네는 관람객이 직접 커튼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설치 작업을 공개한다. 관람객은 체인을 걷히거나 커튼 사이로 벌어진 추상적인 모양의 틈 사이로 걸어가면서 우리가 소유하지 않는 공간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찰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알바로 우르바노는 멕시코 건축가 루이스 바라간(Luis Barragán)과 스페인 시인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Federico García Lorca)의 만남을 상상한 조각 작품을 선보인다. 가르시아 로르카의 고향인 ‘그라나다’는 스페인어로 석류를 뜻하여 두 거장의 연결성을 드러내는 작품의 주요 모티프로 등장한다.
전시 제목인 ‘맑고 투명하고 깨어 있는’은 티베트의 수행자 닥포 타시 남걀(Dakpo Tashi Namgyal)의 명사서 『자성의 본래성을 밝히다(Clarifying the Natural State)』에 나오는 구절로, 고양된 의식 상태, 현존, 투명한 내면 등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철학을 반영하는 《맑고 투명하고 깨어 있는》은 관람자들에게 인간과 비인간이 공존하는 오늘날의 사회에 주의를 기울이고, 열린 마음으로 예술과 마주하며, 국가적·문화적 경계를 넘어 상호 이해를 촉진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한다. 오프닝 주간인 5월 10일과 11일에는 관객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풍성한 퍼블릭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다. 본 전시는 한국-스페인 수교 75주년을 기념하여 스페인문화부의 후원을 받았다.
전시명 맑고 투명하고 깨어 있는 Clear, Lucid, and Awake
전시기간 2025. 5. 9. (금) – 7. 20. (일)
전시장소 아트선재센터 더그라운드(1F), 스페이스1(2F)
참여작가
(총 10명) 이레네 데 안드레스(Irene de Andrés)
디에고 델라스(Diego Delas)
크리스티나 루카스(Cristina Lucas)
레히나 데 미겔(Regina de Miguel)
아순시온 몰리노스 고르도(Asunción Molinos Gordo)
클라우디아 파제스(Claudia Pagès)
벨렌 로드리게스(Belén Rodríguez)
테레사 솔라르 아부드(Teresa Solar Abboud)
다니엘 스티그만 망그라네(Daniel Steegmann Mangrané)
알바로 우르바노(Álvaro Urbano)
기획 추스 마르티네스(Chus Martínez, 바젤 FHNW 아트 앤 디자인 아카데미 아트 젠더 네이처 학장)
협력 김지나(스페이스 포 컨템포러리 아트 프로젝트 디렉터)
주최 아트선재센터
공동주관 아트선재센터, TBA21 티센보르네미사 아트 컨템포러리
협력 스페인 문화부, 스페인국가문화활동협회(AC/E), 스페인 국제개발협력기구(AECID), 주한 스페인 대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