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세계에 새겨진 혁명의 기록_2025 아시아 평화 기억하기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2025 민주·인권·평화 네트워크
<아시아평화 기억하기>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매년 민주·인권·평화 네트워크 회원 기관과 연대하여 전시, 포럼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습니다.
2025년에는 네트워크 참여 기관 중 하나인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과 함께 협력 전시를 선보입니다.

이번 협력전시의 주제는 <세계에 새겨진 혁명의 기록> 입니다.
동학농민혁명 131주년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기념하며 마련된 뜻깊은 자리로,
동학농민혁명의 가치와 정신을 오늘에 되새기는 전시입니다.
전시는 총 4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부 변화와 개혁의 기록, 2부 협치와 상생의 기록, 3부 자주와 항전의 기록, 4부 정의와 인권의 기록을 통해
동학농민혁명이 남긴 다양한 의미를 차분히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교육행사로는 <기억의 연대, 동학에서 평화를 보다>라는 주제의 특별강연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강연자는 역사 속의 궁금한 이야기들도 속시원이 풀어주는 ‘역사마스터’ 심용환 소장으로,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를 깊이 있게 들여다 보는 시간을 함께할 예정입니다.

전시와 강연을 통해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와 오늘의 평화를 함께 마주해 보시기 바랍니다.

문의 1899-5566
공동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1부 변화와 개혁의 기록 - 평등한 세상을 꿈꾸다
조선 후기 봉건적 질서 하에서 거듭되는 지배층의 수탈과 외세의 침투로 피폐해진 백성들이 평등한 세상을 꿈꾸며 변화와 개혁을 지향했던 모습이 담긴 기록
사발통문, 무장포고문 등

2부 협치와 상생의 기록 - 집강소를 세우다
집강소라는 민관협력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할 뿐 아니라, 동학교단 내에서도 포접제를 운영하며 여러 직책을 부여하는 등 협치와 상생을 도모했던 모습이 담긴 기록
동학사(초고본), 명록 등

3부 자주와 항전의 기록 - 외세의 침략에 맞서다
일본의 침략 의도가 노골화되자, ‘반일 투쟁’을 최우선 목표로 삼으며 자주와 자립을 위한 항전의 모습과 그에 대한 인식 및 시국관이 담긴 기록
유광화 편지, 춘당록 등

4부 정의와 인권의 기록 - 민주주의의 뿌리가 되다
숱한 진압에도 굴하지 않고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 인권이 존중되는 사회를 지향하며 억압적·차별적인 제도를 철폐하고자 했던 모습이 담긴 기록
한달문 옥중 편지, 유회성책 등


교육체험 1894 기억 저장소
동학농민혁명기록물 전국 지도 스티커 활동지, 공산초비기 스탬프 활동지, 오늘 하루 기록하기 포토박스, 기록 카드 쓰기 등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