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화여성작가회원들, 당신들은 센가요?

하계훈



한국화여성작가회원들, 당신들은 센가요?

하계훈 | 미술평론가


당신은 센가요? 우리는 이 질문의 대상이 남성일 것이라는 선입견을 갖는다. 최근까지 여성에게 이런 질문을 한다면 질문의 포인트가 빗나갔다고 생각한다. 역사적으로 ‘여성 = 아름다움’, ‘남성 = 강인함’이라는 맞춤틀(frame)이 어려서부터 우리들의 삶에 씌워져 왔기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살아왔다. 특히 산업혁명과 제1, 2차 세계대전 등의 역사적 전환점을 맞기 전까지는 더욱 그러했고, 그러므로 남성은 양(陽) 여성은 음(陰), 남성은 바깥 여성은 집안이라는 도식이 사회를 작동하는 패러다임으로 오랫동안 굳게 자리 잡아 왔다.

우리의 근현대미술사에서도 이러한 사회적 틀에 갇혀 미술계는 남성 주도형으로 전개되어 온 것이 사실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맥락의 부조리를 타파하는 움직임 가운데 하나로 여성들만의 조직과 동아리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여자대학교, 여성경제인연합회, 여성기자협회, 그리고 한국화여성작가회도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 사회에 등장했고 그러한 현상에 대해서 격려의 시선과 부정적 시선이 공존해 왔다.

ㅡㅡㅡㅡㅡ

공간의 확장과 경험의 확산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자. 당시 유럽에서 콜럼버스의 주변인들은 그때까지만 해도 먼바다에 나가면 지구의 끝이 있고 그 너머에는 낭떠러지 아래 미지의 세계가 있다는 두려움을 당연시하며 살았다. 두려움과 무지는 공포와 환상, 그리고 왜곡에게 우리 삶의 공간을 내어준다. 그 후 수백 년이 지나서 탄생한 “이성이 잠들면 괴물이 출현한다”는 고야의 작품은, 해석이 분명하진 않지만, 대체로 그가 살던 시대의 미신과 악습에 대한 비판과 풍자가 담긴 작품으로 본다. 한국화 작가들에게 종이와 먹 너머의 세상에 캔버스와 아크릴, 유화 물감이 있다는 것을 알고 그것들이 있는 공간으로 다가가도 콜럼버스의 일화에서 말한 것과 같은 낭떠러지는 없을 것이다. 물론 그 낭떠러지를 향해 모두가 배를 타고 달려갈 필요는 없다. 아니 그렇게 해서도 안 된다. 누군가는 한국화의 전통 정신과 화법을 지킬 것이다. 그러나 콜럼버스처럼 누군가는 한 번쯤 수평선 너머의 낭떠러지 공포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ㅡㅡㅡㅡㅡ

쓸모와 쓰임

‘쓸모’의 사전적 정의는 ‘쓸 만한 가치’, ‘쓰이게 될 분야나 부분’이다 그리고 ‘쓰임’의 사전적 정의는 ‘쓰다’의 피동사로서 ‘돈이나 물건 따위가 실제로 사용되는 곳. 또는 그 용도’다. 그러므로 작가들이 창작 해내는 작품은 쓸모 있게 쓰여야 한다. 창작의 과정에서 작가는 쓸모, 즉 창작의 목적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아마추어 작가들의 여가생활을 뛰어넘는 전문적인 작가의 정신과 미의식을 바탕으로 창작된 작품이라야 미술계의 동료와 선후배들에게 그 노력과 재능, 가치를 인정받고 자신의 창작 행위에 대한 정당성을 인정받게 되는 것이다. 영국의 미술평론가 알란 보우니스(Alan Bowness)는 예술가의 성장과 성공의 과정을 네 단계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첫째는 동료들의 인정, 둘째는 비평가들의 인정, 셋째는 화상과 컬렉터의 인정, 그리고 나면 대중적 갈채가 따른다고 했다. 동료들과 함께, 그러나 나 스스로도 치열하게 쓸모 있는 작가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이 곧 예술 창작의 길인 것이다.

ㅡㅡㅡㅡㅡ

디지털 기술 복제가 가능한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예술의 원본성과 유일성

한국화는 우리 역사에서 오랜 전통을 지켜왔지만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일본을 통해 수입된 서양화 기법에 관한 관심 증대와 식민지 상황에서의 자기부정 의식, 그리고 6.25전쟁에 묻어 들어온 유럽과 미국의 새로운 미술 사조에 대한 호기심 등으로 점차 우리 미술사에서 그 설 자리가 위협을 받아왔다. 20세기에 들어서서 우리 사회의 근대화가 급속히 전개되는 동안 우리의 미술 교육제도, 생활양식, 경제 체제 등등 사회의 모든 분야가 급격하게 서구화되면서 미술 분야에서 한국화는 미술계뿐 아니라 우리 생활공간에서의 입지가 전보다 점점 좁아져 갔다.이러한 한국화를 둘러싼 변화의 바람 속에 일부 작가는 전통에 도전하기도 하고 전통과 현대의 새로운 통섭을 실험하기도 하는가 하면 일부에서는 서구화 바람에 맞서서 전통적 회화의 원형을 지키려고 노력하며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서양에서 찾아볼 수 없는 우리의 전통 회화는 분명 우리의 소중한 문화자산이다. 그러나 우리의 시각 예술 분야에서 한국화(동양화)와 서양화를 구분하여 논하는 것은 다분히 재료와 형식 중심의 개념으로서 정작 작품을 창작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는 작품의 주제나 창작의 주체 등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한국화를 특정 장르의 개념으로 보기보다는 현재 우리들이 이곳에서 우리의 의식을 반영하는 작품이라면 모두 한국화로 보아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질문을 던지기도 한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