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MMCA 현대차 시리즈 2023: 정연두 – 백년 여행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김달진

MMCA 현대차 시리즈 2023: 정연두 – 백년 여행기

2023. 9.6 - 2024.2.25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MMCA 현대차 시리즈 2023: 정연두 – 백년 여행기 전시가 2023년 9월 6일부터 2024년 2월 25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개최한다. 국립현대미술관이 현대자동차의 후원으로 국내대표 중진작가를 지원하는 프로그랭으로 2014년 시작이래 올 해 열번 째로 신작 중심으로 발표하는 영예로운 전시이다. 정연두(54세)는 30대에 최연소작가로  국립현대미술관 2007년 올해의작가 초대전에 이어 16년만에 다시 MMCA  현대차시리즈 작가로 생전에 두차례 단독 개인전을 갖는 평가받은 작가이다. 서울대 조소과, 센트럴 세인트 마틴 칼리지 조소과  수료, 런던대학 골드스미스 칼리지 미술석사 출신으로 성균관대 교수이다.  9월5일 기자간담회는 박종달 관장 직무대리 인사에 이어 배명지 학예연구사의 전시소개와 전시투어로 이루어졌다. 질의응답 시간에 나는 지난 2월에 제주 포도뮤지엄에서 하와이 이민, 사탕수수 전시를 보았는데 이번 전시에서 집중적으로 보아야 점을 물었다.






                                       백년여행기-프롤로그


정연두는 1998년 이후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와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기억과 재현, 현실과 이미지, 거대 서사와 개별 서사의 역설적 관계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퍼포먼스와 연출 중심의 사진과 영상, 설치 작업으로 국내외 미술계의 조명을 받아왔다. 2014년도 이후 작가는 다큐멘터리적 서사와 그에 내재된 개인의 이야기에 관심을 가진다. 프랑스로 이주한 이민자 이야기를 다룬 <여기와 저기 사이>(2015)를 비롯하여, 아시아 근대사를 중심으로 한 <고전과 신작>(2018), <높은 굽을 신은 소녀>(2018), <소음 사중주>(2019), <DMZ극장>(2021) 등에서 작가는 전쟁, 재난, 이주, 국가, 이데올로기와 같은 거시적 내러티브를 개인 서사 및 신화와 설화 등을 통해 재구성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시공간의 인물들을 연결시키거나 시와 음악, 연극의 언어를 경유하면서 다큐멘터리적 서사가 조직되는 과정에서 드러나지 않은 공백들과 다층적인 목소리에 주목하고, 현실을 새롭게 다시 바라보는 역설의 태도를 견지해왔다.



《MMCA 현대차 시리즈 2023: 정연두-백년 여행기》에서 작가가 주목한 서사는 20세기 초 멕시코로 건너간 한인 디아스포라(diaspora)이다. 전시명인 ‘백년 여행기’는 1905년, 영국 상선 일포드호를 타고 인천 제물포항을 떠나 멕시코 유카탄 주의 수도 메리다에 도착했던 백여 년 전의 한인 이주기를 의미한다. ‘역사’로서의 백년 전 이주기에 대한 작가의 관심은 ‘백년초’라는 식물의 ‘설화’적 여행기에서 출발했다. 백년초는 백 년에 한 번씩 꽃이 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멕시코에서는 노팔 선인장이라고도 불린다. 작가는 2022년 9개월간 제주도에서 생활하며 제주 북서쪽 월령리 일대의 백년초 자생 군락을 방문한다. 쿠로시오 난류를 타고 멕시코에서 태평양을 건너와 제주도에 뿌리를 내렸다고 알려진 백년초 이동 설화에서 작가는 한국과 멕시코를 잇는 식물 및 사람의 백년 여행기라는 소재를 떠올리게 되었다. 이때 식물의 ‘이식’은 뿌리가 뽑혀 다른 시공간으로 이동한 한인들의 ‘이주’와 접속한다. 그리고 이는 제국, 식민, 노동, 역사를 둘러싼 기존의 이주 서사 이외의 제3의 이야기를 열어주는 통로가 된다.


 상상곡 

백년여행기

                                           날의 벽 / 설탕, 허니콤 보드, 흡음재


전시는 서울관의 서울박스 및 5전시실에서 <백년 여행기>, <상상곡>, <세대 초상>, <날의 벽> 등 4점의 신작과 <백년 여행기-프롤로그>(2022) 등 총 5점이 출품된다. 전시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서로 무관해 보이는 존재를 연결하는 가능성의 영역으로 이주와 이국성의 주제에 다가간다. 또한 문화적 다양성이 뒤섞여있는 혼종성의 맥락 속에서 이주민들의 삶의 경험과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예술을 통해 낯선 존재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나아가 이번 전시는 20세기 초 한인 이주라는 다큐멘터리적 서사를 넘어 서로 다른 두 세계가 접합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탈구된 시공간의 경험, 이질성과 친숙함의 관계, 이주를 둘러싼 세대 간의 문화적·역사적 간극, 그리고 경계를 넘나들며 이동하고 번역되는 존재 등에 대해 생각해보기를 권유한다. 관람객은 넓은 공간에 마련된 편한 자리에서 영상을 집중적으로 보면 된다.


정연두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