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중
2025.04.10 - 2025.5.18.
아르코미술관
참여 기획자 : 권혁규, 김도희, 김신재
참여 작가 : 강석호, 권오상, 김솔이, 노은주, 문이삭, 박광수, 야광, 김규림, 이민지, 한우리, 홍진훤, 황효덕, 고재욱, 권세정, 김용관, 마실, 문이삭, 박혜연, 신재현, 신지선, 이생강, 임성연, 정희영, 조상인, 조습, 조영주, 조은지, 최소연
2025년 4월 10일부터 개최된 아르코미술관 ⟪미니버스, 오르트 구름, ㄷ떨:안녕인사⟫오프닝 행사에 참여했다. 이번 전시는 종로구 인사동에서 젊은 예술인의 여러 활동이 벌어지는 공간인 인사미술공간(이하 인미공)의 운영 종료를 앞두고, 지난 25년간의 인미공의 활동으로 남긴 예술적 실험과 문화적 자산을 다시 돌아본다. 그리고 공간의 소멸과 동시에 그 맥락을 어떻게 이어갈지 고민하는 자리이기도 하다. 하여 오프닝 행사에는 아르코미술관 관계자, 참여 기획자, 참여 작가를 비롯해 많은 젊은 예술인들이 모이는 자리로 북적였다.
전시전경
전시는 임미공이 펼쳐온 사업을 세 명의 기획자가 각기 다른 매력으로 전개한다. 뮤지엄헤드의 책임큐레이터인 권혁규의 ‘미니버스’, 작가이자 미술잡지 ‘ㄷ떨’의 창간인인 김도희의 ‘ㄷ떨:안녕인사’, 그리고 웹진 『비유』의 편집위원인 김신재의 ‘오르트 구름’으로 전시가 구성된다. 그리고 각 공간에 총 28명의 작가들이 참여하여 작품을 선보인다.
‘미니버스’를 설명하는 권혁규
1층의 ‘미니버스’는 ‘소문자, 이동, 경유지, 경로’ 등의 키워드를 핵심으로 삼는다. ‘미니버스’는 독립되어 있지 않고 여러 장면이 얽혀있는 인미공의 시간을 ‘현재’로 주목하여 각기 다른 현재를 전시장에서 드러낸다. 강석호의 큐브 시리즈, 권오상의 초기 작업, 김솔이의 이명 조각, 노은주의 작업실 회화, 문이삭의 소조, 박광수의 애니메이션, 야광의 바디캠 작업을 선보이고, 사라짐을 일종의 조건으로 인미공에 부여된 정체성과 역사 기술의 방식을 재고한다.
‘ㄷ떨:안녕인사’를 설명하는 김도희
1층과 2층의 브릿지 역할을 하는 ‘ㄷ떨:안녕인사’는 인미공을 거친 여러 세대의 작가와 기획자를 초대한다. 핵심 키워드는 ‘다양한 목소리, 손 끝에 닿은 책장이 부드럽게 떨리는 느낌’으로, 경험주의 잡지를 표방하고 딱딱하지 않은 『ㄷ떨』 만의 방식으로 인미공의 공간이 남긴 흔적과 여운을 감지한다. ‘ㄷ떨: 안녕인사’는 고재욱, 권세정, 김용관, 마실, 문이삭, 신제현, 신지선, 조습, 조영주, 조은지, 최소연 작가와 박혜연 연구자 및 권혁규, 김신재, 이생강 임성연, 정희영 기획자의 글, 인터뷰를 비롯하여 인미공을 오랫동안 지켜본 원서동 이웃들의 인터뷰와 조상인 미술 전문기자의 꽁트도 실어 전시장을 채웠다. 이들의 이야기는 작가, 기획자, 이웃 간의 연결을 표상한다.
작품을 설명하는 김규림
3층의 ‘오르트 구름’의 핵심 키워드는 ‘흩어진 혜성, 신호, 얼음조각, 씨앗의 운반’으로 미디어를 환경과 인프라로 바라보고, 이미지가 물리적 현실, 빛 물질, 시간과 맺는 관계를 재조명한다. 전시는 이민지, 황효덕, 김규림, 홍진원, 한우리가 함께하여 포착한 시각적 이미지를 각각의 언어로 선보인다. 오르트 구름을 과거뿐 아닌 미래를 보존하는 거대한 장소로 인식하고 ‘오르트 구름’은 질문의 긴 꼬리를 따라 미지의 영역을 그린다. 전시는 5월 18일까지.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