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만화_ 한국만화100년전 개막

김달진

한국만화100년전(6.3-8.23) 개막을 앞두고 6월2일 프레스센터앞에서 10시반에 버스가 국립현대미술관으로 출발했다. 기자간담회는 배순훈관장의 인사 “먼저 보도가 되어 감사하며, 만화가 미술의 한 분야로 확대되고, 발전하는데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압축했다.
이어 교육문화과 이승미팀장의 전시기획 의도 “한국만화100주년 위원회와 1년동안 준비” 와 박재동, 김동하, 이희재 공동위원장을 소개했다.
박재동씨는 인사에서 만화가끼리는 ‘전우’라고 하는데 편견, 천시, 검열과 싸워야 했다. 아이들의 모든 죄를 만화에 뒤집어 씌웠다.... 박재동씨가 만화전을 안내했다. 전시구성은 한국만화 100년의 역사-한국만화의 흐름, 장르만화, 크로스오버- 미술과 만화의 경계너머로 크게 세 구역으로 이루어졌다. 국립현대미술관 개관 40년에 첫 만화전이며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한 6.25때 제작한 '고바우'로 유명한 김성환 씨의 한국전쟁 스케치 중 12점이 첫 공개되었다. 어린시절 국어교과서 1-1에 나온 어머니, 어머니, 우리 어머니 삽화가 김태형씨 라고 표기되어 있었다.




점심식사는 미술관회 휴게실에서 도시락
만화가 김동화씨는 “1960년대 64페이지 만화에 세 번의 검열을 거쳐야 했고, 두 개의 큰 출판사만 있었다. 난 34년 만화를 음성적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서가에 꽂혀야 된다고 믿었고, 글자와 그림이 있는데 왜 저급종이에 인쇄하느냐에 불만이 많았다.... 고 했다.

일상에 지친 삶을 잃어버렸던 추억을 찾아 흠뻑 만화에 빠져 봅시다.

사진 1. 시작화면 배순훈 국립현대미술관
본문 시작화면 1. 박재동,
사진 2. 만화
사진 3. 왼쪽부터, 김동화, 배순훈, 박재동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