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현대미술포럼『그들도 있었다』,김홍희『페미니즘 미술읽기』출판기념회

김달진


그들도 있었다: 한국 현대미술사를 만든 여성들

2024.10.16. 상지갤러리








현대미술포럼(대표 윤난지)에서 달진닷컴에 2020년 1월 31일 부터 2023년 5월 30일까지 1달에 2명씩 연재한 105명을 묶어서 '그들도 있었다: 한국 현대미술사를 만든 여성들'이 2권으로 나무연필에서 출간되었다.

1권 57명 수록 43,000원 / 2권 48명 수록 40,000원



정보원,이명미,홍이현숙,정종미,김해리,정하윤,박은영




출판기념회가 10월16일 11시 상지갤러리에서 열렸고 인사말은 윤난지 현대미술포럼, 임윤희 도서출판 나무연필 대표에 이어 필자와 작가의 대화에는 김현주, 정보원, 박은영, 이명미, 정하윤, 정종미, 김해리, 홍이현숙, 순서지에 있던 8명 외 김홍희, 최은주, 차우희, 김달진 등 많이 추가되었다.




김달진, 윤난지, 김영나

출판기념회가 열린 상지갤러리 조문자, 김달진


------------------------------------------------------------------------------------------------


페미니즘 미술읽기 : 한국 여성 미술가들의 저항과 탈주

2024.9.30. 더레스토랑 국제갤러리






경향신문에 연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김홍희출판기념회 '페미니즘 미술읽기 : 한국 여성 미술가들의 저항과 탈주' 출판기념회가 9월30일 5시부터 국제갤러리 더레스토랑에서 있었다.


여성 미술인 44명 이야기/ 열화당 / 38.000원


축사는 전 서울시립미술관장 백지숙, 미술가 정정엽, 정서영, 정은영, 시인 김혜순

질의응답에는 김홍남 전 국립중앙박물관장, 김민 동아일보 기자 등이 참여했다.


김홍희


 이 책은 지난 삼십여 년간 큐레이터이자 평론가로 미술 현장에 몸담아 온 김홍희의 도전적 저술로, 1980년대 이후 반세기 동안 한국의 여성 미술가들이 축적한 성과를 보여주는 여성적 시간의 지형도이다. 페미니즘이 당면한 15가지 화두를 설정하고 그 안에 다른 세대의 작가, 또는 생각을 공유하는 작가 2-4명을 배치해, 개인을 넘어서는 세대와 작가 사이의 팀워크를 보여준다.


김달진,정일주,김홍희,김홍남,김희근

                                                               김달진, 이상남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