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글쓴이 | 등록일 | 조회수 |
---|---|---|---|
(18)유영교 조각에 대한 감상 | 신양희 | 2023-05 | 170 |
(17)모단(毛斷)과 모던, 도안과 디자인 사이- 과도기의 시각언어에서 읽어야 할 것들 | 최범 | 2023-01 | 246 |
(16)삶과 작품을 접합하기: ‘조각 여정’이 보여준 어떤 가능성 | 안소현 | 2022-10 | 418 |
(15)상실과 소멸의 삶을 위한 정교한 메타서사 : 이주용, ‘극장 디오라마-환대의 장소’전 | 공주형 | 2022-03 | 356 |
(14)미술평론의 현실과 위기를 우연히 재현한 아카이브 | 반이정 | 2018-08 | 1298 |
(13)행위예술(퍼포먼스) 전시에 영상예술(비디오아트)이 웬 말이냐? | 이혁발 | 2017-12 | 2135 |
(12)건축 앙가주망 종이와 콘크리트전: 한국 현대건축운동 1987-1997 | 송종열 | 2017-12 | 1617 |
(11)우리는 왜 2017년 ‘do it’ 서울 전을 하는가? | 심현섭 | 2017-07 | 1620 |
(10)추상미술의 역사 만들기 ‘한국 추상미술의 역사전’을 보고 | 권행가 | 2016-09 | 2418 |
(9)공모전, 한 시대의 예술적 풍경이 만들어지는 한 방식 | 김동일 | 2014-09 | 1666 |
(8)근현대미술교과서의 또 다른 가치 | 김용철 | 2014-06 | 1660 |
(7)한국미술단체의 역사를 재조명 | 이용훈 | 2013-10 | 2232 |
(6)미술의 역사를 구성하는 물질문화 엿보기 | 권행가 | 2013-04 | 3450 |
(5)자연미술비엔날레의 과제 | 김성호 | 2012-12 | 2290 |
(4)첫발을 내딛는 ‘2012 창원조각비엔날레- 꿈꾸는 섬’ | 장준석 | 2012-12 | 2610 |
(3)부산비엔날레, 프로젝트 대전 : 현대미술의 대중화 실현에 근접? | 안은영 | 2012-11 | 2410 |
(2)대구사진비엔날레, 정체성의 문제 | 김승곤 | 2012-11 | 2136 |
(1)비엔날레의 안과 밖 - 광주비엔날레와 서울국제미디어아트비엔날레 | 정형탁 | 2012-10 | 3824 |
(0)동양화새천년 2009 한국화의 현대적 변용 | 박영택 | 2009-11 | 3236 |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